그린빈 전문 뉴스레터
이번 뉴스레터에는?
1. 비즈니스 게시판 업체 소식
2. 그리니시 리스트 국내수입 업데이트
3. 월드리포트 커피 생산지 현황보고
4. 커피거래소 옥션 및 선물 거래추이
5. 간추린뉴스 이번 주 뉴스 한 눈에 보기
|
|
|
[세웅GC]
콜롬비아 엘파라이소 리치
지역 / 농장 : Cauca / El Paraiso
재배고도 : 1,930m / 품종 : Castillo
가공방식 : Aerobic & Anaerobic
커핑노트 : 과일향, 리치, 복숭아, 배, 사과
가격 : 43,000~45,000원/kg
구매하러 가기 |
|
|
[코빈즈커피]
코스타리카 엘 베네피시오 애너로빅 내추럴
지역 : Tarrazu / 농장 : El Beneficio
고도 : 1,650m / 품종 : Catuai
가공 : Anaerobic Natural 컵 노트 : Dark Cherry, Fruit Jam, Spice, Fresh Bread, Soft, Lingering
가격 : 30,300원/kg
|
|
|
불레틴 사용안내 :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신규생두입고, 할인행사, 커핑(교육) 등 활동내용을 알려주세요.
광고(AD) 안내 : 짧지만 강력한 광고! 등록 시 링크가 제공됩니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이용해보세요. |
|
|
<입고> 세웅GC 콜롬비아 핀카 엘파라이소 농장의 뉴크랍 리치, 리치피치, 레드플럼, 그릭 요거트 4종이 입고되었습니다.
<기타> 코빈즈커피 코스타리카 돈 마요 생두 구매하실 때 요청에 따라 따라주 원산지 스탬프와 나마(NAMA 저탄소 스탬프를 드립니다.
<기타> 더블유빈 ‘Christmas Party’ 스페셜티 품목 10종 할인 판매 및 리뷰 이벤트 진행중입니다(~12/21).
<할인> 레헴코리아 이번 주 할인 생두는 콜롬비아 나리뇨 수프리모 라 유니온입니다.
<입고> 로열커피코리아 12월 중 에티오피아(2종), 코스타리카(2종), 과테말라(2종), 에콰도르(8종) 입고될 예정입니다.
<할인> 블레스빈 ‘Holiday’ 연말 감사 이벤트로 14종 생두 할인 판매 중입니다(~12/31).
<입고> MI커피 니카라과 마이크로랏 커피 입고됐습니다.
|
<할인> GSC ‘슈퍼SALE’ 생두 45종 최대 50%까지 할인 판매 중입니다(~24/1/1).
<입고> 커만사 페루 버번 3종 입고됐습니다.
<기타> 커피미업 파나마 라 에스메랄다 투마코 옥션랏 게이샤 등 스페셜 생두 3종 판매합니다.
<입고> 코웍커피 온두라스 3종, 에티오피아 3종 신규 입고됐습니다.
_____
<세미나> 뉴웨이브커피로스터스 12/16 10주년 기념 로스팅 세미나 진행합니다.
<클래스> 모지포그라운드 커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커핑세션 1기 모집 중입니다.
<커핑> 보난자커피코리아 12/13 페루, 케냐 등 6종 커피로 퍼블릭 커핑 진행합니다.
<클래스> CBSC인터내셔널 24/1/13~16 월드커피로스팅챔피언십 헤드심사위원 제이크 후와 함께 로스팅과 센서리에 대해 배워봅니다. |
|
|
Survey
생두 공동구매 수요 조사
그리니시 레터가 잠시 쉬었던 생두 공동구매를 이어가려고 합니다. 진행에 앞서 수요 조사를 위한 간단한 설문을 준비했습니다. 설문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많을 수록 모두에게 유익한 비지니스 기회가 만들어집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인 공동구매 진행 시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께는 별도로 안내해드립니다
|
|
|
이번 주 판매생두 업데이트
(11/29~12/5) |
|
|
과테말라 - 디카페인 (마운틴 워터) 과테말라 SHB 과테말라 산타펠리사 게이샤 2722 내추럴 1750 과테말라 안티구아 아카테 SHB EP 워시드 멕시코 COE 6위 핀카 시나이 게이샤 워시드 멕시코 돈 라파 SHG 디카페인 데스카멕스 마운틴워터 멕시코 돈 라파 티피카+버번+문도노보 워시드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Lot-231 게이샤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Lot-259 게이샤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Lot-261 게이샤 내추럴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Lot-263 게이샤 내추럴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Lot-270 게이샤 허니 멕시코 핀카 산타 크루즈 프라이빗 옥션 Lot-9 게이샤 멕시코 핀카 파티카 카투라 (유기농) 디카페인 베트남 로부스타 G1 브라질 모지아나 브라질 모지아나 파인컵 NY2/17-18 내추럴 브라질 세하도 파인컵 NY2/17-18 내추럴 브라질 파젠다 몬테알토 내추럴 스페셜티 에스메랄다 다이아몬드 마운틴 내추럴 에티오피아 구지 G1 카보닉 메서레이션-디카페인 에티오피아 구지 아돌라 G1 내추럴 에티오피아 시다모 G2 - 디카페인(마운틴 워터) 에티오피아 시다모 G2 W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G2 W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G4 예멘 나노랏 와디세일 아나에어로빅 내추럴 갈리브 예멘 나노랏 자르마 갈랄 |
예멘 나노랏 타헤르 살레 아라밧 온두라스 코판 꼬르퀸 파라이네마 인도네시아 브네르 므리아 리오 세미 워시드 인도네시아 쁘가싱 아바타라 내추럴 CM 인도네시아 쁘가싱 아바타라 웻헐 인도네시아 쁘가싱 아바타라 티피카 워시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만델링 G1 TP 웻 훌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NO.1 자메이카 블루마운틴 NO.1 18/19 코스타리카 COE 11위 돈 다닐로 게이샤 내추럴 코스타리카 산 디에고 내추럴 콜롬비아 노르테 데 산탄데르 라 유니온 카스티죠 워시드 콜롬비아 노르테 데 엘 히구아론 카스티죠 워시드 콜롬비아 수프레모 EP SC17 - 디카페인(스위스워터) 콜롬비아 수프리모 - 디카페인(마운틴 워터) 콜롬비아 수프리모 EP SC 17/18 콜롬비아 수프리모 디카페인 콜롬비아 안티오키아 엘 수수로 카투라 치로소 워시드 롱 콜롬비아 엑조틱 리치 핀카 엘 파라이소 콜롬비아 토리마 수프리모 파나마 핀카 레리다 게이샤 내추럴 1500 파나마 핀카 레리다 게이샤 내추럴 1700 파나마 핀카 레리다 게이샤 내추럴 1750 파나마 핀카 레리다 게이샤 허니 1550 파나마 핀카 레리다 카투아이 내추럴 BOP 랏 파나마 핀카 레리다 파카마라 아멜리아 내추럴 파나마 핀카 레리다 파카마라 아멜리아 내추럴 ASD
|
|
|
* 회원이 되시면 필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
총수입량 4,247t 中 판매용 1467t
- 브라질 1404 / 443
- 베트남 1255 / --
- 콜롬비아 506 / 389
- 인도네시아 102 / 64
- 에티오피아 208 / 170
- 온두라스 -- / --
- 인도 259 / 38
- 우간다 19 / 19
- 멕시코 18 / 18
- 과테말라 224 / 205
- 페루 102 / 1
- 니카라과 -- / --
- 중국 -- / --
- 코스타리카 19 / 19
- 케냐 57 / 54
|
- 파푸아뉴기니 18 / 18
- 탄자니아 19 / 0
- 엘살바도르 18 / 17
- 에콰도르 0 / 0
- 카메룬 -- / --
- 라오스 -- / --
- 태국 -- / --
- 콩고민주공화국 -- / --
- 르완다 -- / --
- 부룬디 -- / --
- 필리핀 -- / --
- 예멘 -- / --
- 쿠바 -- / --
- 파나마 -- / --
- 볼리비아 -- / --
- 동티모르 17 / 12
- 자메이카 -- / --
- 미얀마 -- / --
- 미국 2 / 0
- 푸에르토리코 -- / --
|
|
|
coffee-price.com 제공 커피생두 유통판매 현황입니다. 공개된 판매정보를 기반으로 수집합니다. 주간현황 요약 및 수입사 링크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두수입통계는 원산지 기준이며, 가공/수출국은 집계되지 않습니다. 식약처 적합 판정일과 신고중량(톤)을 표시한 것이므로 실제 유통일정과 다를 수 있습니다. |
|
|
List+Beisler : Origin News
|
|
|
시장상황 :
미국과 유럽 중앙은행이 취한 경제 조치가 경제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상대적으로 빠르고 가팔랐던 금리 인상은 현재로선 멈췄습니다. 이후 금리 움직임은 더 느리고 세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연착륙'이 눈앞에 있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는 높은 이자율이 경제를 경기 침체에 너무 깊이 빠뜨리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커피가격 :
롤러코스터가 돌아왔습니다. 상승세가 다시 링으로 돌아와 가격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금요일 뉴욕의 아라비카 가격은 5개월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 뒤에는 많은 힘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요한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왜 지금이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예를 들어, USD가 약해져서 상품 가격이 상승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목요일 커피가격 12+c/lb 움직임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요? 존 메이너드 케인즈(John Maynard Keynes)의 유명한 명언이 떠오릅니다. “시장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오랫동안 비합리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번 주간 최대 10% 상승했고, 184.50c/lb로 마감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
|
|
(barchart, 12/5)
가격이 급상승한 배경에 대해 ICE 재고하락을 언급하기도 합니다. 특히 급격한 가격상승이 있었던 지난 금요일에는 오래된 커피 재고의 재제출을 금지하는 ICE의 새로운 규정으로 인해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규정 변경이 ICE가 모니터링하는 커피 재고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해 커피 가격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
국제 로부스타 가격도 금요일 2,627 USD/MT로 3개월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로부스타는 지난 몇 달 동안 더욱 일관적인 모습을 보여 꾸준히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번 주는 금요일에 2,545 USD/MT로 마감되었으며, 이는 지난주 마감보다 꾸준히 1.1% 높은 수준입니다. 한편, 이번 화요일 ICE가 모니터링하는 로부스타 커피 재고는 3,666로트였습니다.
|
|
|
인도네시아 :
수마트라 북부 아체 지역의 아라비카 수확이 서서히 진행 중입니다. 해외 바이어와의 판매 계약을 이행해야 하는 수출업체의 수요가 높은 편입니다.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해지면서 현재 커피 가격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른 커피 생산지인 발리, 자바, 술라웨시섬의 기후조건은 좋은 편으로, 나무에는 상당한 양의 체리가 달렸습니다. 생산자들은 약 6개월 뒤에 수확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인도 :
저지대 지역에서 시작되었지만 아라비카 수확이 시작됐지만, 로부스타 커피 체리는 아직 나무에서 좀 더 자라야 합니다. 농부들은 가능한 수확을 빨리 시작하기 위해 계속해서 농장을 모니터링합니다. 높은 국제 커피가격은 농부들을 재촉합니다.
베트남 :
춥지만 화창한 날씨 덕분에 베트남 중부고원의 주요 커피 생산지인 Dak Lak, Dak Nong, Gia Lai, Lam Dong 및 Kontum 등에서 로부스타 수확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
|
|
* 옥션 일정은 산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1위를 차지한 Montreal 농장의 Duberney Cifuentes Fajardo씨
2023 콜롬비아COE 옥션 결과, 프로세싱 다양해져
지난달 21일 치러진 2023 콜롬비아COE 결과를 살펴봅니다. 이번에 출품된 커피는 지난해 22종에서 28종으로 많이 늘어났습니다. 출품량은 지난해와 거의 비슷한 15,900여 파운드로, 결과적으로 랏당 평균 출품량은 다소 줄어들었습니다.
예년과 크게 달라진 부분은 프로세싱 다변화입니다. 워시드가 14종으로 절반을 차지하며 여전히 강세이지만, 내추럴 계열, 특히 허니 비율이 2종에서 7종으로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무산소 계열 프로세싱도 지난해 3종에서 올해 6종으로 늘면서 새로운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품종에서는 게이샤가 13종으로 계속해서 콜롬비아COE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핑크버번이 포함된 버번 계열이 6종, 카투라 치로소가 포함된 카투라 계열이 5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번 옥션 평균 낙찰가는 파운드당 $22.88로, 지난해 $24.85보다는 10%가량 낮아졌습니다. 최고가는 1위에 랭크된 Montreal 농장의 게이샤 커피가 차지했으며, 낙찰가는 $75.1/lb입니다. 지난해 최고가가 파운드당 $90대와 비교하면 20% 가까이 낮아진 가격입니다. 흥미로운 부분은 하위권인 17위, 24위에서 평균가 이상의 낙찰가가 나왔다는 점입니다. 지난해에는 10위권 이후부턴 낮은 가격세가 뚜렷해, 15위부턴 $10 초반대를 유지한 바 있습니다.
국내 업체들의 참여도 두드러졌습니다. 카페뮤제오&정헌식&해월커피&블루문커피&훈토커피로스터스&커피화&비로소커피(2b번), MI커피(10번), 커피휘엘(14번, 20번, 26번), 커피미업(21번), 카페뮤제오&비로소커피&하루코빈즈(22번), mychem(28번)이 낙찰받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조.
|
|
|
파나마 게이샤와 에티오피아 게이샤로 구성된 선물세트입니다. 평소 스페셜티 커피를 즐겨 마시는 미식가에게, 인상적인 선물을 해보세요. |
|
|
간추린 뉴스
ICO 두 번째 연간리포트 발표 “미국의 성장과 세계의 축소”
국제 커피기구 (ICO)는 생산 및 소비 측면에서 전 세계 커피 부문에 대한 경제 분석과 내년 예측을 포함하는 두 번째 커피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43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는 “팽창하는 아메리카 대륙의 커피산지와 축소되는 나머지 지역 산지들의 생산 패턴 불일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요약
- 2022/23년의 세계 커피 생산량은 0.1% 증가한 1억 6,820만 자루를 기록했습니다. 브라질을 비롯한 미주지역의 커피 생산량이 늘어난 것과 다르게 다른 지역 산지의 생산량이 줄어들었는데, 이 비율이 거의 정확하게 구분돼 성장률이 정체된 것입니다. 이는 커피 생산지 차원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예를 들어 아시아 & 오세아니아와 아프리카의 생산량이 각각 4.7%와 7.2% 감소했는데, 격년제 생산(2년 마다 생산량이 늘어나는 현상)에 영향을 받은 브라질의 생산량이 8.4% 증가했습니다.
- 2023/24년 커피 생산량은 5.8% 증가한 1억 7,800만 자루로 예상되며, 아라비카는 1억 2,220만 자루, 로부스타는 7,580만 자루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브라질과 아라비카의 경우 2023년까지 지속된 불리한 기상조건으로 인해, 이례적으로 이번 격년 생산에 대한 전망은 부정적입니다. 엘니뇨로 인해 예상되는 현산은 아시아, 특히 인도네시아와 같은 산지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베트남은 관개시설로 인해 강수량 감소로 인한 생산량 감소가 완화되고, 건조하고 더운 날씨가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세계 커피 산업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2022/23년에는 소폭의 플러스 성장률을 예상했지만, 실제로 세계 커피소비량은 2.0% 감소한 1억 7,310만 자루를 기록했습니다.
- 2022/23년 커피소비는 높은 생활비, 가처분 소득 감소, 오랜 재고 감소의 영향으로 인해 기존의 패턴을 충실히 따르지 못했습니다. 커피는 상대적으로 경기 흐름에 영향을 덜 받는 품목이지만, 세계적으로 어려운 경제 환경은 커피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 2023/24년 세계 커피소비량 전망은 크게 세계 경제가 3.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하고, 업계가 대규모 재고 감소에 대응해 실질 소비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합니다. 그 결과 세계 커피 소비량은 2.2% 증가한 1억 7,700만 자루로 예상되며, 비생산국이 전체 소비량 증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2023/24년 세계 커피시장은 1.0백만 자루의 커피 공급 과잉이 예상됩니다.
|
|
|
지열을 이용한 친환경 커피 프로세싱
(think geoenergy, 11/28)
인도네시아에서 지열 에너지를 커피 프로세싱에 활용하는 방법을 시도합니다.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 Kamojang 지역의 Pertamina 지열 에너지(PGE)가 주도하는 지열커피공정(GCP)은 지열에너지를 활용해 발효 및 건조 과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합니다. 예를 들어 가공까지 보통 7~10일이 소요되는 워시드 프로세싱은 2~4일로, 평균 42~53일 소요되는 내추럴 가공은 7~10일까지 단축시킵니다. GCP를 활용할 경우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간 4톤에 해당하는 탄소배출량도 줄일 수 있습니다.
COE의 새로운 산지 교육프로그램 Origin Immersion
(dcn, 12/4)
COE에서 커피생산 국가의 커피와 문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고안된 'Origin Immersion’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오는 24년 2월, 살바도르 커피연구소(Instituto Salvadoreño Del Café)와 함께 첫 번째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프로그램 참가자는 5일 동안, 커피 생산부터 가공, 로스팅, 커피 추출 등 엘살바도르 커피산업 현장 곳곳을 살펴보게 됩니다. 이번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COE수석심사위원 Luis Rodriguez는 “참가자들은 왜 엘살바도르가 숨겨진 보석같은 나라에서 스페셜티 강국으로 발전하게 됐는지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에티오피아, 탄소 판매로 5년 간 110만 유로 수익
(2merkato, 12/4)
에티오피아 오로미아 지역의 커피 생산자 연합이 탄소배출권을 판매해 지난 5년 동안 110만 유로의 수익을 올렸습니다. 노조는 파트너십을 맺은 네덜란드 회사 Fair Climate Fund에 97,000톤의 탄소를 판매했습니다. 오로미아 주에서는 탄소배출 감소와 커피 생산량을 촉진하기 위해 혼농임업을 중점에 두고 있으며, 농부들에게 대체 에너지 기술을 제공해 삼림벌채를 막는 ‘Oromia Cook Store Distribution’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에티오피아 산림개발(EFD)에 따르면 에티오피아는 2030년까지 탄소 거래를 통해 약 1억 달러의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
|
|
2023 Sprudge Design Awards 수상자 발표
(Sprudge, 12/5)
커피매거진 스프럿지(Sprudge)의 첫 디자인 어워드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 패키징(Wholebean, RTD, Seasonal), 웹사이트, 디자이너, 기업 등 14개의 분야를 선정했습니다. |
|
|
Daydrink
Outstanding Packaging, Whole Bean / Loose Leaf |
|
|
Cat & Cloud
Outstanding Design Achievement — Print Materials |
|
|
Kahawa 1893
Design in Support of a Social Impact Campaign
|
|
|
그리니시 레터 by 피프티그램
to.greenish.letter@gmail.com
|
|
|
|